[국악과] 풍물굿의구성원리
페이지 정보
작성일 20-10-26 08:02
본문
Download : [국악과] 풍물굿의구성원리.hwp
이를 위하여 풍물(굿물)과 다양한 연희방식을 함께 동원하여 판(마당)이라는 물리적 공간에 사람과 일을 끌어들이는 구체적인 계기를 만들어 주고, 목적이 달성될 때까지 주도적으로 굿을 이끌어 가면서 판에 생명력을 불어 넣어주는 무당(광대:중간자)으로서의 풍물패의 위상과 역할을 살펴본 후, 풍물패의 연희내용과 아울러 궁극적으로 굿판의 주인이라고 할 수 있는 판에 모인 사람(놀이꾼)들이 보이는 反應과 놀이 모습을 살펴볼 것이다.
Download : [국악과] 풍물굿의구성원리.hwp( 11 )
[국악과] 풍물굿의구성원리
![[국악과]%20풍물굿의구성원리_hwp_01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A%B5%AD%EC%95%85%EA%B3%BC%5D%20%ED%92%8D%EB%AC%BC%EA%B5%BF%EC%9D%98%EA%B5%AC%EC%84%B1%EC%9B%90%EB%A6%AC_hwp_01.gif)
![[국악과]%20풍물굿의구성원리_hwp_02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A%B5%AD%EC%95%85%EA%B3%BC%5D%20%ED%92%8D%EB%AC%BC%EA%B5%BF%EC%9D%98%EA%B5%AC%EC%84%B1%EC%9B%90%EB%A6%AC_hwp_02.gif)
![[국악과]%20풍물굿의구성원리_hwp_03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A%B5%AD%EC%95%85%EA%B3%BC%5D%20%ED%92%8D%EB%AC%BC%EA%B5%BF%EC%9D%98%EA%B5%AC%EC%84%B1%EC%9B%90%EB%A6%AC_hwp_03.gif)
![[국악과]%20풍물굿의구성원리_hwp_04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A%B5%AD%EC%95%85%EA%B3%BC%5D%20%ED%92%8D%EB%AC%BC%EA%B5%BF%EC%9D%98%EA%B5%AC%EC%84%B1%EC%9B%90%EB%A6%AC_hwp_04.gif)
![[국악과]%20풍물굿의구성원리_hwp_05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A%B5%AD%EC%95%85%EA%B3%BC%5D%20%ED%92%8D%EB%AC%BC%EA%B5%BF%EC%9D%98%EA%B5%AC%EC%84%B1%EC%9B%90%EB%A6%AC_hwp_05.gif)
![[국악과]%20풍물굿의구성원리_hwp_06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A%B5%AD%EC%95%85%EA%B3%BC%5D%20%ED%92%8D%EB%AC%BC%EA%B5%BF%EC%9D%98%EA%B5%AC%EC%84%B1%EC%9B%90%EB%A6%AC_hwp_06.gif)
레포트/예체능
풍물굿의 구성원리
- 최소원칙과 최대원칙 -
박 흥주/굿연구소 소장
1. 들어가면서
굿판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 즉, 사람과 굿물과 굿판을 벌이게 된 목적이 어떤 원칙에 의해 서로 만나서 판을 형성하며 어떤 원리에 의해 연행되면서 만남(판)을 갖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해가는 가를 이해하는 것은 무척 중요하다.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판을 형성하는 제 요소들이 단지 판이라는 공간에 각기 모여 판의 구성요소가 된다는 정태적인 차원의 이해를 넘어서서 이들이 판 안에서 판을 펼친 이유와 굿을 하고자 하는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상호 influence(영향)을 주고받는다는 상대적인 관점과 동태적인 차원에서 인식할 필요가 있다아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시켜나가는 행위가 연행의 형태로 나타나며 이 연행의 양식과 양태가 풍물굿의 연희방식과 원리를 결정하기 때문일것이다
이 글은 풍물굿판을 구성하는 제 요소들의 각각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봄으로서 풍물굿의 구성원리와 연희방식의 원리를 규명코자 한다. 두레풍물굿은 연희풍물…(To be continued )
[국악과] 풍물굿의구성원리 , [국악과] 풍물굿의구성원리예체능레포트 , [국악과] 풍물굿의구성원리
설명
[국악과] 풍물굿의구성원리
순서
[국악과],풍물굿의구성원리,예체능,레포트
다. 특히 두레풍물굿을 주된 대상으로 설정하고 중심적으로 analysis(분석) 하고자 한다. 이에 대한 이해가 굿의 본질을 파악하는 선결조건일 뿐더러 굿이 현재의 culture로서도 유효한 내용과 양식을 구축하는 이론(理論)적 토대가 될 것이기 때문일것이다
풍물굿의 경우도 풍물굿판의 제 요소들, 즉 풍물패와 굿판에 모인 사람들 그리고 그 풍물굿판을 만든 목적들이 어떻게 만나서 각각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하는가, 성공적인 풍물굿판을 어떻게 만들어 내는 가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된다.